-
반응형
여성건강간호학
1. 개념
-여성의 일생을 통한 전 연령층의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학문으로, 여성 자신과 그 가족의 안녕과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돕는 것이다.
-가임기 여성뿐만 아니라 신생아, 남편을 포함한 가족 전체의 건강관리에 관심을 가진다.
-여성의 성 특성과 관련하여 사춘기부터 폐경기 이후의 여성이 가족 및 사회문화적 맥락 내에서 그들의 역할과 기능, 신념 및 경험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건강문제를 가족 중심과 여성 중심 접근 방법으로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중재하는 학문이다.
2. 목적
-여성의 성 특성을 중심으로 생식기관, 생식작용, 출산과정, 어머니의 역할뿐 아니라 여성의 전생애를 통해 건강유지, 증진, 질병예방 및 회복과 관련된 편치 않음을 탐구하고 간호한다.
-여성은 가족구성원의 핵심이므로 가족중심 접근법을 적용하여 여성 개인뿐 아니라 가족 전체의 건강을 도모한다.
-여성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여성중심 접근방법으로 여성이 자신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지식을 습득하여 스스로 결정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3. 접근방법
1) 가족중심간호
-예로 참여분만, 자연분만, 모자동실, 외력을 배제한 출산, 선택적 출산, 가족분만, 가정분만의 부활 등이 있다.
2) 여성중심간호
-여성을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의 힘과 결단력으로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이를 통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힘이 있는 존재로 이해하는 것이다.
4. 여성건강간호사의 역할
-간호제공자: 충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로 가족중심, 여성중심적 간호를 제공한다.
-연구자: 연구를 통해서 근거중심 간호를 제공한다.
-옹호자: 자신에게 맞는 건강관리방법을 선택하도록 지지 및 대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교육자 및 상담자: 자가간호와 자가검진 등의 교육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유지·증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한다.
Reference
-김혜원 외(2018).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강남미 역(2016). 모성·여성건강간호학1. 정담미디어.
반응형'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임법의 조건과 종류 (0) 2020.03.24 성의 개념 (0) 2020.03.24 혈압 측정 시 발생하는 오류 (0) 2020.03.24 18세 이상 성인의 혈압 분류 (0) 2020.03.24 활력징후(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정상범위 (0)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