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임법의 조건과 종류공부 2020. 3. 24. 13:37반응형
1. 피임법의 조건
-피임효과가 확실해야한다.
-효과가 일시적이며 복원 가능해야한다.
-인체에 무해해야한다.
-성교나 성감을 해쳐서는 안 된다.
-사용법이 간단해야 한다.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성병 예방 효과가 있어야 한다.
2. 피임법의 종류
1)월경주기법
-월경주기에 배란기를 예측하여 가임기를 확인하고 금욕하는 방법이다.
-다음 월경일에서 14일 전을 배란기로 보고 정자의 생존기간을 더해서 12~16일 전에 금욕하는 방법이다.
-월경주기가 불규칙할 경우 피임 실패율이 높다.
2)기초체온법
-배란 전후 체온 변화를 보고 가임기간을 확인 후 3일 간 금욕하는 방법이다.
-기초체온은 첫날~배란기까지 일정 수준을 유지하다가 배란 24시간 전 약간 감소 후 배란 후에 상승하여 월경기까지 고온기가 유지된다.
-감염, 과로 등이 기초체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경관점액관찰법
-배란 시의 경관점액 상태에 따라 가임기간을 확인하여 금욕하는 방법이다.
-배란 전후 경관점액이 투명하고 양이 많아진다.
4)경구피임약
-체내 호르몬 조절로 여포자극호르몬, 황체형성호르몬 분비를 억제시켜 배란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난관 기능을 방해하고 자궁내막, 경관점액 변화로 착상을 방해하는 피임효과가 있다.
-월경 주기 조절이 가능하며 성생활과 무관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매일 복용해야 효과가 분명하다.
-부작용으로 오심, 유방압통, 과소월경, 위축성 질염, 식욕증가, 무월경, 다모증 등이 나타난다.
5)질외사정법
-성교 중 사정하기 전 음경을 질에서 빼내어 질외사정을 하는 방법이다.
-약간의 정액이 여성의 생식기에 남아 임신될 가능성이 있다.
-가장 피임효과가 낮은 방법이다.
6)살정제
-질 내 정자의 운동력을 화학적으로 약화시켜 정자의 경관 내 진입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삽입이 간편하지만 질점막이 자극되는 단점이 있다.
7)콘돔
-얇고 탄력적인 고무제품을 성교 전 음경에 씌워 정자가 질 내에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이다.
-피임 효과가 90%가량 정확하며 인체에 무해하고 성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벗겨지거나 찢겨지는 등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
8)다이아프램
-여성의 자궁경부에 고무마개를 씌워 사정된 정자가 경관 내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하나로 2~4년 정도 사용이 가능하나 악취 나는 분비물과 요로감염을 유발한다.
9)자궁 내 장치(루프, 미레나)
-자궁강에 기구를 삽입하여 수정란의 착상을 방지하고 정자의 난관 이동을 방해한다.
-임신을 원할 때 제거 가능하며 부작용으로 월경과다, 월경불순, 골반염, 자궁 외 임신 등이 있다.
10)난관결찰술, 난관절제술
-난관을 절단하고 결찰하므로 정자의 난관 통과를 막는다.
-월경, 배란, 호르몬 기능은 정상이며 임신만 불가능하다.
-당일 시술이 가능하며 수술 후 바로 피임효과가 있다.
-복원이 어렵다.
11)정관절제술
-양쪽 정관을 절개하고 결찰하는 방법으로 정자가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성생활에 지장이 없고, 정액량에 변화가 없다.
-수술 후 1~2일간 음낭부종, 통증이 있을 수 있고 복원이 어렵다.
12)응급피임법
-계획되지 않은 성교, 피임의 실패, 성폭력으로 인한 성행위 후 임신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수정란의 착상 이전에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착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성교 후 72시간 내에 복용해야 효과가 있다.
-피임 성공 시에는 1주일 내에 질 출혈이 있다.
Reference
-김혜원 외(2018). 여성건강간호학 1. 현문사.
-김계숙(2002). 성과 건강. 현문사.
반응형'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성 피부질환 (0) 2020.03.24 피부계 구조 및 기능 (0) 2020.03.24 성의 개념 (0) 2020.03.24 여성 건강 개념 (0) 2020.03.24 혈압 측정 시 발생하는 오류 (0)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