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피부계 구조 및 기능
    공부 2020. 3. 24. 15:55
    반응형

    1. 피부계의 구성

    표피, 진피, 피하조직, 한선, 피지선, 모낭, 모발, 손톱, 발톱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2. 피부계의 기능

    방어, 체온조절, 감각(통증, 압력, 온도 등의),면역기능, 신진대사, 체내 수분조절

     

    3. 피부장애 진단검사

    1)도말법

    염화칼륨검사(KOH): 진균류의 균사 발견 위함이다.

    챙크(Tzanck) 도말법: 수포성 장애 확인 시 쓰인다.

    옴검사: 병소부위 옴의 충란, 충체, 배설물의 표본을 확인하는데 쓰인다.

     

    2)우드램프검사

    -병소부위에 자외선 반사하는 수은램프를 쪼인 후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진균감염, 일반 세균감염, 색소침착성 장애를 진단할 때 쓰인다.

     

    3)첩포검사(patch test)

    -접촉 시 알레르기 유발 물질 확인 또는 접촉성 알레르기성 피부염 진단 시 시행한다.

    -항원물질을 전박이나 등에 붙인 후 첩포를 둥근 형태로 만들어 붙인 다음 48시간 후에 판독하며 통증이 있을 시 즉시 제거한다.

     

    4)피부생검

    -조직검사 위해 피부조직의 표본을 채취한다.

    -생검 후 항생제 연고를 도포한다. 

    -출혈 예방을 위해서 생검 48시간 전부터 아스피린 류 약물 사용을 금지한다.

     

    Reference

    -이항련 외(2007). 성인간호학 1,2. 수문사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염성 피부질환  (0) 2020.03.24
    면역성 피부질환  (0) 2020.03.24
    피임법의 조건과 종류  (0) 2020.03.24
    성의 개념  (0) 2020.03.24
    여성 건강 개념  (0) 2020.03.24

    댓글

Designed by Tistory.